www.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RMInfo.do?mi=1139&pblcteSeq=1336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ERIS 발간물 - 교육ㆍ학술 동향 - 이슈리포트

목차 I. 서론 Ⅱ. 원격 수업의 이해 Ⅲ. 보완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Ⅳ. 대체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Ⅴ. 상시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Ⅵ.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저자소개 연구책임자 정영식

www.keris.or.kr

 

목차

I. 서론
Ⅱ. 원격 수업의 이해
Ⅲ. 보완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Ⅳ. 대체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Ⅴ. 상시체제로서의 원격 수업
Ⅵ. 결론 및 제언

 

[자세히 보기] << 클릭


<편집자 주>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디지털, 인공지능, 데이터, 소프트웨어, IoT, 로봇, AR, VR, MR, XR, AI 플랫폼... 등에 대한 훌륭한 연구 자료가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관심 주제를 분야 별로 분류하여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여 공유하고 있습니다. <저자와 출처>를 밝혀두었으니 <원자료>는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kdai-Lab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역량과 인공지능 등의 정보를 나누기위해 개설하였습니다. 사단법인 디지털·인공지능(AI)역량진흥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ERIS 발간물 - KERIS 보고서 - 연구보고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 기대효과 Ⅱ. 디지털교과서 성과분석   1. 성과평가 모형    2. 성과분석    3. 시사점

www.keris.or.kr

 

연구 요약

본 연구에서는 향후 디지털교과서 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향후 디지털교과서 정책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그 동안 추진해 온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한 성과 분석,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및 인식 을 조사, 디지털교과서 관계자들의 의견 조사,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주요 국 가들의 정책 사례와 국내 여론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추진 해 온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첫째, 디지털교과서 활용은 학생의 흥미유발 및 다양한 학습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고 교사의 다양한 교수역량 및 수업 방법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찬성하는 의견이 반대하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과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학습이 이 미 보편화된 상태이며, 해외 주요 국가들에서도 디지털교과서 또는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과 교사 모두 디지털교과서의 활용도는 높지 않으나 점차 활용 이 늘어가고 있으며,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 인식이 점차 높 아지고 있다.

다섯째,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감형 콘텐츠가 새롭게 포함되어 개발된 이후 대폭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활용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단말기 보급, 무선 네트워크 설비 등 의 활용 환경 구축을 위해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법․제도 개선 및 예산 증 액을 통해 서책 교과서 및 다른 학습자료들과 차별화된 내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디지털 기기 활용에 따른 역기능 방지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디지털교과서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대비 필요 예산 및 제도적 노력 의 효율성에 대해 제도적 측면, 예산적 측면, 효용성 측면에서 각각 살펴본 결과, 향후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향의 정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 매체의 장점인 유연함과 확장성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학습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자율성이 주어져야 한다.

넷째, 디지털교과서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안성훈 외, 2020)

 

[자세히 보기] << 클릭


<편집자 주>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디지털, 인공지능, 데이터, 소프트웨어, IoT, 로봇, AR, VR, MR, XR, AI 플랫폼... 등에 대한 훌륭한 연구 자료가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관심 주제를 분야 별로 분류하여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여 공유하고 있습니다. <저자와 출처>를 밝혀두었으니 <원자료>는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kdai-Lab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역량과 인공지능 등의 정보를 나누기위해 개설하였습니다. 사단법인 디지털·인공지능(AI)역량진흥원

,
 

[IS-096] 초중등 학교 원격교육을 위한 IT·제도 인프라 개선 방안 - SPRi

코로나 19로 불가피하게 시작했던 초기의 원격수업이 ‘접속’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에게 장기적인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후략)

spri.kr

 

 요약

코로나 19로 불가피하게 시작했던 초기의 원격수업이 ‘접속’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에게 장기적인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

일선 교사 들은 온라인 쌍방향 수업을 위한 첫 번째 난점으로 SW인프라 부족을 지적했는데 이는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디지털콘텐츠와 학습서비스 등 SW측면을 고려한 투자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난점으로 14세 미만 일부 학생의 온라인 서비스 가입 어려움과 디지털저작권에 대한 침해 우려를 제기했는데, 이는 학교에 등교하여 종이교재를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된 법제도의 개선으로 해결이 필요한 영역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EaaS(Education as a Service)를 교육용 태블릿 기기와 함께 구독형 방식으로 제공하고, 교육 인터넷망을 별도로 분리하여 인터넷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교사가 14세 미만 학생의 온라인 서비스 가입을 동의할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교사가 수업목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위반 우려에 대한 면책조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자세히 보기] << 클릭


<편집자 주>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디지털, 인공지능, 데이터, 소프트웨어, IoT, 로봇, AR, VR, MR, XR, AI 플랫폼... 등에 대한 훌륭한 연구 자료가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관심 주제를 분야 별로 분류하여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여 공유하고 있습니다. <저자와 출처>를 밝혀두었으니 <원자료>는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kdai-Lab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역량과 인공지능 등의 정보를 나누기위해 개설하였습니다. 사단법인 디지털·인공지능(AI)역량진흥원

,